인공빙판 [the artificial floe]

2023. 5. 2. 15:13카테고리 없음

'프로젝트 아크스타'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진행하는 인공 빙판 프로젝트

디자이너 '니클라스 안드레아센'은 독특한 육각형 모양의 인공 빙판을 설계

인공빙판 : 빙하가 녹는 것을 늦추고, 물의 온도를 낮추는 빙판☆

<인공빙판의 원리>

밝은 흰색 표면이 기존의 해빙만큼의 많은 햇빛을 튕겨내며 주변 공기와 물의 온도를 낮춰 빙하가 조금 더 느리게 녹거나 새로운 빙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.

<인공빙판의 효과>

물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, 동결 과정을 적극적으로 촉진하고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. 그리고 차가운 물 표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직접 얼어붙어 새로운 바다 얼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.

지구의 반사율을 높음 (북극의 평균 알베도 증가)

<특징>

1. 인공빙판의 디지털경험 : 인공빙판과 연결된 '디지털 경험'을 사용하여 인공빙판의 위치을 추적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.

- 디지털경험 : 소비자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상품/서비스/브랜드 등을 경험하는 것. 디지털 기술을 통한 상품/서비스/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소통 등

2. 인공 빙판의 소재 : 목재, 종이 등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업사이클링해서 만들며, 생분해성 물질로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된다.

북극권 밖에서 또는 다년간 사용한 후 열로 구동되는 환경 친화적인 분해되도록 설계되었다.

3. 인공빙판의 형태 : 골과 천공이 있는 이 대칭적인 모양은 최소한의 재료을 사용하면서도 최대 표면적최상의 지형을 갖추고 있다. 다층 구조로 되어 있어 가벼우면서도 강하며 접을 수 있고 얼어붙은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.

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

4. 인공빙판의 이동 : 인공빙판은 이동성이 높은 Beaufort Gyre 또는 Transpolar Drift의 해류 근처에 배치되어 자연스럽게 표류되도록 설계하였다.

하지만 설계자조차 북극의 얼음이 급속하게 녹는 것을 막기 위한 임시방편이라고 한다.